본문 바로가기

어쭈구리1

척추협착증 증상, 원인, 수술, 원인, 운동법, 명의추천

 

 

 

척추협착증(Spinal Stenosis) 개요
척추협착증은 척추관(척추뼈 속에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이 여러 요인으로 좁아져 신경(척수 또는 신경근)을 압박해 통증, 감각 이상, 근력 저하 등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요추(허리뼈) 부위에서 발생하는 요추척추관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이 많으며, 경추(목뼈) 부위의 경추척추관협착증(Cervical Spinal Stenosis)은 드물지만 증상이 더 심각할 수 있습니다.


1. 증상(Symptoms)

척추협착증의 증상은 신경이 압박되는 부위(목 vs. 허리)와 압박 강도, 압박된 신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1.1 요추척추관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1. 하지 방사통(Radicular Pain)
    • 엉덩이·허벅지·종아리·발바닥 등으로 타고 내려가는 듯한 통증이 대표적입니다.
    • 주로 걷거나 서 있을 때 악화되고, 앉거나 허리를 숙이거나 쪼그리고 앉으면(척추를 굴곡시키면) 증상이 완화됩니다.
    • “간헐적 파행(intermittent neurogenic claudication)”이라 해, 걷다가 통증으로 자주 쉬어야 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2. 요통(Lower Back Pain)
    • 초기에는 허리 저림·둔한 통증만 느껴질 수 있으나, 진행되면 골반·허벅지 후면 부위까지 통증이 뻗치기도 합니다.
  3. 하지 감각 이상(Sensory Changes)
    • 다리가 저리고, 화끈거리거나 얼얼한 느낌(작열감, 이상 감각)이 나타납니다.
    • 심한 경우 발바닥 감각이 둔해지거나, 온도·진동 감각이 약해지는 감각 저하(symesthesia)가 동반됩니다.
  4. 근력 약화(Muscle Weakness)
    • 다리 근력이 저하되어 계단 오르기·걷기·뛰기 등이 어려워지고, 발 앞꿈치(족저굴곡근) 힘이 약해져 발걸음이 자주 걸리기도 합니다.
    • 양측성 혹은 단측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압박된 신경 뿌리(L5·S1 등)에 따라 약화 부위가 달라집니다.
  5. 대소변 기능 이상(Bowel/Bladder Dysfunction)
    • 심한 척추관협착이 척수 말단부(caudal equina)를 압박하면 요실금, 변실금 같은 자율신경 기능 이상이 발생할 수 있어 응급 수술이 필요합니다.
    • 대개 말기에 발생하므로, 초기에 미리 발견·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운동 시 심해지는 통증(Exacerbated by Extension)
    • 서 있거나 뒤로 젖혔을 때 척추관이 더욱 좁아져 통증이 심해지고, 앞으로 구부리면 일시적으로 통로가 넓어져 통증이 줄어듭니다.

1.2 경추척추관협착증(Cervical Spinal Stenosis)

  1. 경부 통증/방사통(Neck Pain/Radiculopathy)
    • 목 뒤쪽 통증과 함께 어깨·팔·손으로 타는 듯한 방사통이 발생합니다.
    • 증상이 심해지면 손가락 저림, 물건을 놓치는 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2. 척수증상(Myelopathy)
    • 만성적으로 척수가 눌리면 양측성 사지 마비(bilateral weakness), 감각 저하, 보행 장애(gait disturbance), 대소변 장애 등이 나타납니다.
    •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지체 시 돌이킬 수 없는 척수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3. 상지 근력 약화(Upper Limb Weakness)
    • 손가락 세밀한 동작(젓가락질, 단추 끼우기 등)에 지장이 생기고, 악력(grip strength)이 감소합니다.
  4. 보행 이상(Gait Abnormalities)
    • 다리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떨리거나, 앞발 들기 어려움, 칼발 걸음(heel-to-toe gait)이 불안정해집니다.
  5. 긴장 증가(Spasticity) 및 건반사 항진(Hyperreflexia)
    • 신경계 손상 시 반사 신경이 항진되어 과도한 건반사(무릎반사·발목반사), 바빈스키징후(발가락 자극 시 발가락 벌어짐) 등이 관찰됩니다.

2. 원인(Causes)

척추협착증의 원인은 크게 선천적(발생 시), **후천적(퇴행성·외상성·종양 등)**으로 나뉩니다.

2.1 선천적 원인(Congenital)

  • 선천성 척추관협착(Congenital Spinal Stenosis)
    • 태어날 때부터 척추관이 좁게 태어나는 경우로, 성장하면서 증상이 점진적으로 나타납니다.
    • 통상 경추나 요추 분절이 작거나, 후관절(facet joint)이 과도하게 발달해 척추관 공간을 협소하게 만듭니다.
  • 선천성 척추 기형(Congenital Vertebral Anomalies)
    • 척추 분절의 융합(fusion), 가로돌기 혹은 후궁(vertebral arch) 결손 등이 있는 경우도 척추관을 좁게 만듭니다.

2.2 후천적 원인(Acquired)

  1. 퇴행성 변화(Degenerative Changes)
    • 추간판(디스크) 퇴행성 변화: 디스크가 얇아지고 팽팽함이 줄어들면서 디스크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
    • 골극(Osteophyte) 형성: 추간관절·후관절 퇴행성 변화로 골극이 과도하게 생겨 척추관을 좁히거나 신경구멍(foramen)을 좁힘
    • 인대 비후(Ligamentum Flavum Hypertrophy): 황색인대(ligamentum flavum)가 두꺼워져 후방에서 척추관을 압박
    • 추간공 협착(Neuroforaminal Stenosis): 추간공(foraminal) 주변 뼈·인대 변화로 신경근 압박
  2. 척추관절염(Osteoarthritis of Facet Joint)
    • 척추 관절(후관절)이 관절염으로 증식하고 비후되어 좁아진 관절 내 염증이나 비대가 척추관을 축소
  3. 외상성 요인(Traumatic Causes)
    • 추간판 탈출증(Herniated Disc): 급성 외상 시 디스크 파열로 인해 추간공 및 척추관 내로 디스크가 밀려나와 신경을 급성 압박
    • 척추 골절(Vertebral Fracture): 압박골절, 분쇄골절 시 척추관 파편이 신경을 압박
    • 인대 파열/섬유화: 심한 기전(whiplash) 또는 염좌 시 황색인대 인장력 깨지며 두꺼워져 통로가 좁아짐
  4. 종양/감염(Tumors & Infections)
    • 척추 종양(Primary or Metastatic): 척추뼈나 경막 내외의 종양이 척추관을 점차 좁히며 압박
    • 결핵성 척추염(Tuberculous Spondylitis, Pott’s Disease): 감염으로 인해 척추뼈가 파괴되고 농액이 척추관으로 흘러들어와 좁아짐
    • 화농성 척추염(Pyogenic Spondylitis, Epidural Abscess): 세균 감염으로 발생한 농양이 척추관 내로 확장되어 신경 압박
  5. 척추 수술 후(Post-surgical Changes)
    • 과거 요추 유합술, 후관절 성형술 등 수술 시 이식된 금속물질(hardware)이나 반흔 조직(scar tissue)이 척추관을 좁힐 수 있습니다.
    • 시술 후 추간관절염, 재발성 디스크 탈출 등 2차 원인이 생기기도 합니다

 

 

 

3. 진단 및 검사(Diagnosis)

3.1 병력 청취(History Taking)

  • 주요 증상: 다리 방사통, 하지 저림, 보행 시 통증·간헐적 파행, 허리 통증, 배뇨·배변 이상(심한 경우)
  • 증상 양상:
    • 걷다가 통증이 심해져 쫄 수밖에 없는 간헐적 파행
    • 허리를 굽히거나 앉으면 통증이 완화되는 형태(척추를 굴곡시키면 척추관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
  • 과거력:
    • 외상, 척추 수술 이력, 골다공증·류마티스 관절염·종양병력, 감염(결핵, 골수염)
  • 기저질환: 당뇨, 고령 등 신경회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신 상태

3.2 이학적 검사(Physical Examination)

  1. 시진(Inspection)
    • 자세: 등이 과도하게 굴곡되어 있거나, 반대로 요추 후만(flat-back) 양상이 있는지
    • 보행 검사: 넓은 보폭으로 걷지 못하고, 자주 멈추는지 관찰(신경인성 파행)
    • 전방 굴곡시 통증 분포: 허리를 굽혔을 때 통증 감소, 신경장애 범위 확인
  2. 촉진(Palpation)
    • 요추 추간관절(facet joint) 부위 압통, 천추 부위 압통(척수 말단부 압박 의심)
    • 요추 부위 근육 경직·긴장 여부
  3. 신경학적 검사(Neurological Examination)
    • 근력 검사(Muscle Strength Testing): 하지 주요 근육(L2~S1 분절), 발 앞/뒤 들기 힘 확인
    • 감각 검사(Sensory Testing): 다양한 분절별(예: L4 dermatome, S1 dermatome 등) 감각 저하 여부(진동·통각·온도 감각)
    • 심부 건반사(Deep Tendon Reflexes): 무릎반사(L4), 발목반사(S1) 항진 혹은 저하 유무
    • 직각 들어올리기 검사(Straight Leg Raise Test, SLR): 30°~70° 사이로 다리를 들어 올렸을 때 하지 방사통이 발생하면 척추관 내 좌골 신경 압박 의심
    • 스패즈 병변 징후(Babinski’s Sign, Clonus): 경추 부위 척수 압박 시 상지·하지 반사 항진, 병적 반사 관찰

3.3 영상 검사(Imaging Studies)

  1. X선 검사(Radiography)
    • 후방판단(Posterior-Anterior, PA)·측면(Lateral) 단순 X-ray: 척추체 사이 간격 감소, 후관절 비후, 골극(Osteophyte), 척추 전만·후만 각도 확인
    • 기립직후(standing) 촬영: 척추압력 및 협착 부위 확인 용이
  2.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척수·신경근 압박 정도 확인의 골드스탠다드(gold standard)
    • 신경 (척수·신경근)의 실시간 이미지, 디스크 돌출, 인대 비후, 신경구멍(foraminal) 협착 등을 명확히 파악
    • **T2 강조 영상(T2-weighted image)**로 추간판·후관절·인대 상태를 고해상도로 관찰
  3. 컴퓨터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
    • 뼈 구조 평가에 유리, 골극·골성 협착 확인에 도움
    • CT-Myelogram: 조영제를 척수강 내 주입 후 CT 촬영해 신경압박 부위 세밀하게 파악(금기: 디스크 MRI 불가능한 환자)
  4. 초음파 검사(Ultrasound)
    • 주로 추간근막통증(trigger point) 유무, 보조적 용도로 사용, 척추협착 진단에는 부적합
  5. 근전도 검사(EMG/NCS, Electromyography & Nerve Conduction Study)
    • **신경전도 속도(NCV)**와 **근전도(EMG)**로 압박된 신경근의 기능 상태, 근육 분절별 마비정도, 말초신경병증 여부 감별
    • 척추관협착에서 L4, L5, S1 신경근 압박 시 근전도 이상 소견이 관찰

4. 치료(Treatment)

치료는 **보존적 치료(Conservative)**와 **수술적 치료(Surgical)**로 나뉘며, 환자의 증상 정도, 일상생활 장애 유무, 신경학적 이상 여부에 따라 결정합니다.

4.1 보존적 치료(Conservative Management)

  1. 약물치료(Medical Management)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 이부프로펜(Ibuprofen) 200–400 mg, 1일 3회 식후 복용
      • 나프록센(Naproxen) 250–500 mg, 1일 2회 식후 복용
      • 셀레콕시브(Celecoxib) 100–200 mg, 1일 1–2회 복용 (위장 부작용 적음)
    • 근이완제(Muscle Relaxants)
      • 티자니딘(Tizanidine) 2–4 mg, 1일 2–3회 식후 복용 (졸음·어지럼 주의)
      • 바클로펜(Baclofen) 10–20 mg, 1일 2–3회 복용 (혈압 저하, 어지럼 가능)
    •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
      • 가바펜틴(Gabapentin) 300–900 mg, 1일 2–3회 (하지 신경통 완화)
      • 프레가발린(Pregabalin) 75–150 mg, 1일 2회 (말초신경통 개선)
      • 삼환계 항우울제(Amitriptyline) 10–25 mg, 1일 1회 취침 전 (만성통증 억제)
    • 국소 진통·소염 연고(Local Analgesic/Ointment)
      • 디클로페낙(Diclofenac) 겔, 하루 2–3회 통증 부위 바르기
      • 캡사이신(Capsaicin) 패치, 하루 8시간 부착 후 제거(피부 자극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
  2. 물리치료(Physical Therapy)
    • 도수치료(Manual Therapy)
      • 근막 이완, 관절가동술, 척추 정렬 및 유연성 회복
      • 주요 타깃 근육: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다열근(Multifidus), 대둔근(Gluteus maximus), 햄스트링(Hamstrings)
    • 전기 자극 치료(TENS)
      • 저주파 전기 자극을 통해 통증 완화, 혈류 증가
    • 열·냉 찜질(Thermotherapy & Cryotherapy)
      • 냉찜질: 급성기 통증·염증 조절, 15~20분 적용
      • 온찜질: 만성기 근육 이완, 혈류 개선, 15~20분 적용
    • 초음파 치료(Ultrasound Therapy)
      • 깊은 조직 열 효과로 염증 완화, 회복 촉진
    • 체외 충격파 치료(ESWT)
      • 척추 주변 근건 조직의 혈류 증가, 만성 통증 감소 효과
  3. 운동치료(Exercise Therapy)
    • 척추 중립 안정화 운동(Spinal Neutral Stabilization)
      1. 코어 강화(Core Strengthening)
        • 복횡근(Transversus Abdominis) 활성화: 등받이에 등을 붙이고 누워 복횡근을 천천히 조여(“배꼽을 척추 쪽으로 끌어당긴다”) 10초 유지 후 이완, 10회 반복
        • 다열근(Multifidus) 운동: 네 발 기기 자세에서 허리를 곧게 유지한 채, 한쪽 팔과 반대쪽 다리를 번갈아 들어 올려 5초씩 유지, 10회 반복
      2. 코어 안정화를 돕는 운동
        • Bird Dog: 네 발 기기 자세에서 목·척추를 중립 위치에 놓고, 오른팔과 왼다리를 동시에 들어올려 5~10초 유지 후 교대, 양쪽 10회씩
        • 플랭크(Plank): 팔꿈치와 무릎을 바닥에 대고 몸통을 일직선으로 유지(척추 중립), 10초~1분 유지, 3세트
    • 유연성 스트레칭(Flexibility & Stretching)
      1. 햄스트링 스트레칭(Hamstring Stretch)
        • 의자나 벤치에 한쪽 다리를 편 상태로 올려두고 상체를 천천히 앞으로 숙여 허벅지 뒤쪽에 늘어나는 느낌으로 20~30초 유지, 양쪽 3회씩
      2. 대둔근 스트레칭(Gluteal Stretch)
        • 등을 대고 누워 오른쪽 발목을 왼쪽 무릎 위에 걸친 뒤, 왼쪽 무릎을 가슴 쪽으로 끌어당겨 20~30초 유지, 반대쪽도 동일
      3. 요방형근 스트레칭(Quadratus Lumborum Stretch)
        • 의자에 앉아 몸통을 옆으로 기울이며 팔을 머리 위로 올려 반대쪽으로 기울이기, 옆구리가 늘어나는 느낌으로 20초 유지, 양쪽 3회
    • 유산소 운동(Aerobic Exercise)
      • 걷기(Brisk Walking): 하루 30분 이상, 주 5회 목표. 복도나 야외 평지에서 걷기 좋음
      • 수영(Swimming): 척추 부담이 적고, 전신 근육 강화 가능
      • 고정형 자전거(Stationary Bike): 과도한 충격 없이 허리 주변 근육 활성화
  4. 주사 치료(Injection Therapy)
    •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Epidural Steroid Injection)
      • 척추관 내 염증 및 신경 부종 감소. L4L5, L5S1 분절에 스테로이드+마취제 혼합 주사
      • 증상 완화 기간: 수주~수개월. 반복 주사 시 내성·추가 부작용(혈당 상승, 국소 감염) 유의
    • 신경근 차단술(Nerve Root Block)
      • 추간공(foramen)으로 초음파 또는 C-arm 유도하에 스테로이드 주입. 압박된 신경근 주변 염증 감소
      • 효과 지속: 수주~수개월, 재발 시 반복 가능
    • 관절강 내 주사(Facet Joint Injection)
      • 후관절(척추관절) 자체가 염증일 때, 관절강으로 스테로이드+마취제 주입해 통증 완화
      • 효과: 약 1~3개월
  5. 보조기·보조용품(Braces & Supports)
    • 요추 보조대(Lumbar Support Belt)
      • 허리를 안정화하고, 과도한 굴곡·과신전을 제한. 가벼운 협착 증상 완화 목적
      • 제품 예: 허리보호대(벨크로 타입), 복대형 기성품 등
    • 자세 교정용 쿠션(Postural Cushion)
      • 의자에 앉을 때 허리 뒤 요추 부위에 작은 쿠션을 넣어 요추 전만 유지

4.2 수술적 치료(Surgical Management)

보존적 치료에도 **6~12주 이상 증상 호전이 없거나, 심한 신경학적 이상 징후(근력 저하, 대소변 기능 이상, 감각 마비)**가 있을 때, 수술을 고려합니다.

  1. 후궁 절제술(Laminectomy, Decompression Surgery)
    • 협착된 척추관을 넓히기 위해 척추뼈 뒤쪽(후궁, lamina)을 제거하거나 절개(perforation)
    • 단독 후궁절제술(Laminectomy Only): 협착된 척추관을 풀어주는 최소 침습 방식.
    • 후궁절제 + 고정술(Laminectomy + Fusion): 척추 불안정성이 있거나, 과도한 후궁절제로 인해 척추 구조가 약해졌을 때 나사(pedicle screw)·로드 고정 후 골 이식
  2. 경추척추관협착증 수술(Anterior vs. Posterior Approaches)
    •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 전방 접근법: 디스크 탈출 제거 후 인공 디스크 혹은 틈새 케이지 삽입 후 플레이트 고정
      • 장점: 전만 곡선 유지, 즉각적 신경 감압
      • 단점: 인접 분절 퇴행성 변화, 식도·기관 손상 위험
    • Posterior Cervical Laminectomy & Fusion
      • 후방 접근법: 후궁절제, 척추관 확장(확장술) 후 나사·로드 고정
      • 장점: 광범위 다분절 협착 시 효과적, 전방 구조 손상 없음
      • 단점: 경추 후만 소실 가능성, 출혈·감염 위험
  3. 미세현미경 디스크 제거술(Microdiscectomy)
    • 디스크 탈출증이 협착 주원인일 때, 후궁절제술 없이 미세현미경으로 디스크 일부만 제거해 신경 압박 최소화
    • 장점: 출혈이 적고 회복 빠름
    • 단점: 광범위 골극 비후나 인대 비후 동반 시에는 충분한 감압 어려울 수 있음
  4. 추간공확장술(Foraminotomy)
    • 신경근이 나오는 추간공(foramen)을 확장해 신경근 압박을 풀어줌
    • 요추·경추 모두 가능. 단독 시술로 협착 범위가 국한된 경우에 적합
  5. 척추경 최소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MISS)
    • Tubular Retractor-Based Laminectomy/Foraminotomy: 작은 절개(약 2~3 cm)로 튜브를 삽입해 미세경으로 척추관 내 시야 확보 후 협착부 감압
    • Endoscopic Spine Surgery: 내시경으로 척추관 및 추간공을 직접 보면서 디스크 조각·골극 제거
    • 장점: 절개·근육 손상 최소화, 수술 후 통증·회복 기간 감소
    • 단점: 협착 범위가 매우 넓거나 다분절일 때는 제한적
  6. 척추 고정술(Spinal Fusion)
    • 협착으로 인해 척추 불안정성이 있거나, 광범위 후궁절제로 불안정해진 경우 나사(pedicle screw)·로드로 고정 후 뼈 이식
    • Instrumented Fusion: 금속 보형물과 자가 골이식 혹은 인공 골이식재 사용
    • 장점: 수술 후 불안정성 예방, 통증 감소
    • 단점: 고정 부위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Adjacent Segment Disease) 발생 가능

5. 운동법(Exercise Methods)

척추협착증은 신경 압박을 줄이면서 척추 안정화·유연성 유지를 목표로 운동해야 합니다. 운동 시 통증 악화가 없는 범위 내에서 시행하며, 가능하면 물리치료사·운동치료사의 지도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5.1 중립 척추 유지 및 안정화 운동 (Spinal Neutral & Core Stability)

  1. 복횡근(Transversus Abdominis) 활성화
    • Pelvic Tilt: 등을 똑바로 대고 누워 무릎을 세운 상태에서, 배꼽을 등쪽으로 눌러 골반을 뒤로 기울인 뒤(허리가 바닥에 붙음) 5초 유지, 10회
  2. Bird Dog
    • 네 발 기기 자세에서 목·등을 중립으로 유지한 채, 오른팔과 왼다리를 동시에 수평으로 들어 올려 5초 유지 후 원위치. 반대쪽 반복. 양쪽 각 10회
  3. 플랭크(Plank)
    • 팔꿈치와 무릎(또는 발끝)을 바닥에 대고 몸통을 일직선으로 유지(허리·엉덩이가 붕 뜨거나 처지지 않도록) 20~30초 유지, 3세트
  4. 사이드 플랭크(Side Plank)
    • 옆으로 누워 팔꿈치와 발측면으로 체중 지지, 몸을 일직선으로 유지하며 복사근(oblique) 활성화 15~20초 유지, 양쪽 각 3세트

5.2 유연성 및 스트레칭 운동 (Flexibility & Stretching)

  1. 햄스트링 스트레칭(Hamstring Stretch)
    • 의자나 침대 끝에 한쪽 다리를 올려놓고 상체를 천천히 앞으로 숙여 허벅지 뒤 근육 늘리기, 20~30초 유지, 양쪽 각 3회
  2. 엉덩이 근육(Gluteal) 스트레칭
    • 등을 대고 누워 오른쪽 발목을 왼쪽 무릎 위에 걸고, 왼쪽 무릎을 가슴 쪽으로 당겨 엉덩이 근육 늘리기, 20~30초 유지, 반대쪽 반복
  3. 골반 전방 회전 스트레칭(Pelvic Tilt Stretch)
    • 선 자세에서 한 발을 의자 위에 올리고, 몸통을 앞으로 내밀어 골반 앞쪽(고관절 굴곡부) 늘리기, 20~30초 유지, 양쪽 각 3회
  4. 척추 확장 스트레칭(Standing Back Extension)
    • 양손을 허리에 대고, 천천히 상체를 뒤로 젖혀 흉추·요추 확장, 허리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3~5초 유지, 10회

5.3 유산소 운동(Aerobic Exercise)

  1. 걷기(Brisk Walking)
    • 하루 30분 정도 평지 걷기. **척추를 약간 구부린 상태(bent-forward posture)**가 증상을 완화하므로, 가벼운 오르막이나 언덕길을 앞 허리를 살짝 굽혀 걷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음.
  2. 수영(Swimming)
    • 배영(Backstroke): 허리 부담이 적고, 척추 확장 운동 효과
    • 자유형(Freestyle): 물의 부력 덕분에 척추 압박을 줄이고 전신 근력 강화
  3. 고정형 자전거(Stationary Bike)
    • 앉아서 페달 밟기만 해도 코어 근육이 사용되어 척추 안정화 도움. 핸들을 잡고 상체를 약간 앞으로 숙여서 허리 부하를 줄이기

6. 명의(전문가) 추천(Korean Spine Specialists)

아래는 대한민국에서 척추협착증 진단 및 치료 분야에 풍부한 경험과 명성을 지닌 의료진 및 센터입니다. 지역·진료 편의를 고려해 수도권과 지방권으로 나누어 추천드립니다.

6.1 수도권

  1. 서울아산병원 척추센터(Asan Medical Center Spine Center)
    • 진료과: 정형외과(척추), 신경외과(척추)
    • 대표 의료진
      • 정형외과 김태진 교수: 요추·경추 척추관협착증 수술 및 최소침습 수술(MISS) 권위자
      • 신경외과 송영수 교수: 신경학적 소견 기반 척추협착증 치료, 척추 내시경술 전문가
    • 특징:
      • 소아·청소년 척추질환부터 성인 퇴행성 척추·협착증까지 폭넓은 스펙트럼
      • 3D 내비게이션 및 로봇 보조 척추 수술 시스템 도입
  2. 삼성서울병원 척추센터(Samsung Medical Center Spine Center)
    • 진료과: 정형외과(척추), 신경외과(척추)
    • 대표 의료진
      • 정형외과 이혁 교수: 척추협착증 및 척추관절염 치료, 로봇 및 내시경 척추수술 권위자
      • 신경외과 박주용 교수: 경추척추관협착증·후종인대골화증(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전문
    • 특징:
      • 최소침습적 척추 수술(MISS) 적용 범위가 넓고, 다양한 수술 기법(초소형 내시경, 로봇)이 가능
      • 정밀 진단(MR-CT Fusion) 시스템으로 신경 압박 부위 세밀 파악
  3. 세브란스병원 척추센터(Yonsei Severance Spine Center)
    • 진료과: 정형외과(척추), 재활의학과
    • 대표 의료진
      • 정형외과 장원석 교수: 척추관협착증 복합적 재수술(Revision) 및 다분절 협착증 치료 전문가
      • 재활의학과 김지훈 교수: 보존적 치료(운동·도수치료)와 재활 프로그램 설계
    • 특징:
      • 수술 후 재활클리닉 운영, 물리치료·도수치료·운동치료 통합 관리
      • 척추질환 전용 PHASE 슬관절 재활 시스템 보유
  4. 서울대학교병원 척추센터(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pine Center)
    • 진료과: 정형외과(척추), 신경외과(척추)
    • 대표 의료진
      • 정형외과 박효상 교수: 척추협착증·디스크 질환 치료, 최소침습 후궁절제술(microscopic decompression) 권위자
      • 신경외과 신동호 교수: 경추 및 요추 협착증 내시경 수술 및 고주파 치료 전문가
    • 특징:
      • 척추전문 정밀검사(4DCT, dynamic MRI)로 협착 양상·신경 길이 평가
      • 척추질환 교수진 간 교차 협진 체계(정형외과+신경외과)

6.2 지방권

  1. 부산대학교병원 척추센터(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pine Center, 부산)
    • 진료과: 정형외과(척추), 재활의학과, 신경외과
    • 대표 의료진
      • 정형외과 최준영 교수: 요추척추관협착증 복합 수술, 다분절 협착 치료 경험 풍부
      • 재활의학과 오성원 교수: 물리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 특징:
      • 로봇 및 내시경 척추 수술 도입, 족적식초음파 유도하 신경주사 시술 시행
      • 지역 내 척추질환 임상시험(Clinical Trials) 활발
  2. 전북대학교병원 척추센터(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pine Center, 전주)
    • 진료과: 정형외과(척추), 재활의학과
    • 대표 의료진
      • 정형외과 김정훈 교수: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통합한 척추관협착증 치료, 최소침습 수술(MISS) 경험 풍부
      • 재활의학과 이영진 교수: 척추협착증 환자 대상 체계적 재활 프로그램, 보조기 제작·맞춤
    • 특징:
      • 전북권 대표 척추병원, 도수치료실, 운동치료실 보유
      • 맞춤형 보조기 제작, 성장기 환자부터 노인 환자까지 폭넓은 연령대 관리
  3. 경북대학교병원 척추센터(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pine Center, 대구)
    • 진료과: 정형외과(척추), 재활의학과, 신경외과
    • 대표 의료진
      • 정형외과 박재승 교수: 요추·경추 협착증 수술(척추고정술, 최소침습 후궁절제술) 권위자
      • 신경외과 김상규 교수: 척추 신경 차단술, 신경성형술(Neuroplasty) 등 비수술적 중재 시술 전문가
    • 특징:
      • 척추·신경 통합 협진 시스템(정형외과+신경외과+재활의학과)
      • 척추균형검사(Spinal Balance Analysis) 및 맞춤형 교정 프로그램
  4. 원광대학교병원 척추센터(Wonkwang University Hospital Spine Center, 익산)
    • 진료과: 정형외과(척추), 재활의학과, 한방재활의학과
    • 대표 의료진
      • 정형외과 김민수 교수: 척추 내시경 수술(Endoscopic Discectomy) 및 복합 척추관협착증 치료
      • 한방재활의학과 박수진 교수: 침구·약침(Pharmacopuncture), 척추 도수 한방 치료(Chuna Therapy)
    • 특징:
      • 한·양방 통합 클리닉 운영, 보존적 치료와 한방요법 병행
      • 지역 내 척추질환 환자 대상 통합 재활 프로그램

7. 예방 및 관리 팁(Prevention & Self-Management)

  1. 적절한 자세 유지(Posture)
    • 서 있을 때: 귀·어깨·골반·무릎이 수직선 상에 오도록 하고, 등을 곧게 세운 상태 유지
    • 앉을 때: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넣고, 허리 뒤 요추 부위에 쿠션(요추 지지대)을 넣어 요추 전만곡 유지
    • 컴퓨터 사용 시: 모니터 높이를 눈높이에 맞추고, 90° 굽힌 팔꿈치로 키보드를 타이핑
  2. 체중 관리(Weight Control)
    • 과체중·비만은 허리·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증가시켜 협착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BMI 18.5~23 유지 권장
  3. 규칙적 유산소 운동(Aerobic Activity)
    • 걷기, 수영, 고정식 자전거 등 척추 부담이 적은 운동으로 하루 2030분, 주 35회 실시
  4. 근력 강화(Strengthening Exercises)
    • 코어 안정화 운동: Bird Dog, 플랭크 등
    • 등 근육과 복부 근육 모두 강화해 척추 주변 지지력 향상
  5. 유연성 스트레칭(Flexibility Stretches)
    • 햄스트링·엉덩이 스트레칭, 요방형근·허리 신전근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 긴장 완화
  6. 금연 및 금주(Smoking Cessation & Alcohol Moderation)
    • 흡연 시 척추 디스크 퇴행이 빨라지고, 혈액순환 장애로 조직 회복이 느려짐
    • 과도한 음주는 골밀도 저하·영양 흡수 장애 유발
  7. 적절한 수면 환경(Sleep Ergonomics)
    • 매트리스: 중간 강도의 매트리스가 척추 중립 자세 유지에 도움이 됨
    • 베개 높이: 허리 곡선을 자연스럽게 지지해주는 높이(너무 높거나 낮으면 경추 통증 유발)
  8. 조기 진단 및 정기 검사(Regular Check-ups)
    • 허리 통증·다리 저림·간헐적 파행 증상이 지속되면 즉시 전문의 상담
    • 고령자, 과거 척추 수술 이력, 골다공증 환자는 정기적으로 척추 MRI/X-ray 촬영해 협착 진행 여부 확인

8. 결론(Conclusion)

  • 척추협착증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여 하지 방사통, 근력 약화, 감각 이상, 보행 장애 등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원인은 **선천성(성장 중)과 후천성(퇴행성·외상·종양·감염)**으로 나뉘며, 특히 **퇴행성 변화(디스크, 후관절, 인대 비후)**가 가장 흔합니다.
  • 증상:
    • 요추형: 하지 방사통, 요통, 간헐적 파행, 하지 감각·근력 저하, 대소변 기능 이상
    • 경추형: 경부 통증, 상지 방사통, 손저림·근력 약화, 마비 증상, 보행 이상
  • 진단:
    • 문진/이학적 검사(신경학적 징후 확인), MRI(신경압박 확인의 골드스탠다드), X-ray/CT(골극·추간공 협착 확인), EMG/NCS(신경 기능 평가) 등을 통해 확진
  • 치료:
    1. 보존적: NSAIDs, 근이완제, 신경병증 치료제, 물리치료(도수치료·전기·열치료), 운동치료(코어 안정화·스트레칭), 주사치료(경막외 스테로이드, 신경근 차단), 보조기(요추 지지대)
    2. 수술적:
      • 후궁절제술(Laminectomy), 추간공확장술(Foraminotomy), 미세현미경 디스크 제거술(Microdiscectomy), 척추고정술(Spinal Fusion), 경추 전방 수술(ACDF), 최소침습 척추 수술(MISS)
      • 응급 수술 적응증: 대소변 장애, 급성 근력 마비, 심한 척수 압박
  • 운동법:
    • 중립 척추 안정화 운동: Bird Dog, 플랭크, 복횡근 활성화
    • 유연성 스트레칭: 햄스트링, 대둔근, 요근, 요방형근 스트레칭
    • 유산소 운동: 걷기, 수영, 고정형 자전거
  • 명의 추천:
    • 수도권: 서울아산병원(김태진·송영수), 삼성서울병원(이혁·박주용), 세브란스병원(장원석·김지훈), 서울대병원(박효상·신동호)
    • 지방권: 부산대병원(최준영·오성원), 전북대병원(김정훈·이영진), 경북대병원(박재승·김상규), 원광대병원(김민수·박수진)

척추협착증은 조기 진단·적절한 보존적 치료로도 많은 경우 증상이 호전되나, 신경학적 이상이나 보존 치료 실패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보행 장애 등이 지속될 때는 빨리 척추 전문의를 찾아 상세 검사 후 개인별 최적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또한 올바른 자세, 꾸준한 운동, 체중 관리, 정기 검사를 통해 진행을 늦추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